먹는게르마늄을 처음 접하는 경우 생소할 수 있습니다.
게르마늄이라 하면 광물질로 알고 있는데 광물질을 먹는다?
선듯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게르마늄은 크게 먹을 수 없는 무기 게르마늄과 먹을 수 있는 유기 게르마늄이 있습니다.
다시 유기게르마늄에는 세가지
식물에 함유된 유기 게르마늄
화학합성 유기게르마늄
생합성 바이오 게르마늄이 있습니다.
무기게르마늄은 돌이나 흙에 아주적은 양이 들어 있는 자연상태의 게르마늄 입니다.
전 세계에서 일년에 120톤 밖에 생산되지 않는 희토류 입니다.
반도체 산업, 첨단 군수 산업등 부가가치가 아주 높은 산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무기게르마늄은 사람이 먹을 수 없습니다.
인삼, 산삼, 영지버섯, 명일엽 등의 약용식물에는 식물에 함유된 유기게르마늄이 있습니다.
사람이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함유량이 극미량이라 효과를 보려면 다량 섭취해야 하는데 쉽지 않습니다.
함유량을 높인 인위적인 유기게르마늄이 있습니다.
바로 화학합성 유기게르마늄입니다.
인위적인 화학합성 방식으로 개발된 것입니다.
일본이나 독일 등에서 사용되었습니다.
화학합성 유기게르마늄은 잔류 중금속 성분으로 안전성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 FDA는 1988년부터 화학합성 유기게르마늄의 미국내 유통을 금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한 제약회사에서는 부작용 없는 유기게르마늄 개발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오랜 연구와 개발끝에 바이오게르마늄을 개발하는데 성공 했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은 미생물을 이용한 생합성 방식으로 개발되어 독성이 없고 안전하며, 인체 친화적입니다.
먹는게르마늄 효과
바이오게르마늄은 2007년 한국식약처로 부터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 받아
까다로운 건강기능식품 원료 사용을 승인 했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의 개별인정 효능 효과는 '면역기능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입니다.
또한 일본 후생성의 수입판매 승인
미국 FDA 신원료 승인까지 받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생산과정
대부분 화학합성 유기게르마늄은 잔류 중금속 성분과 소화액 등에 의한
결합의 해체등으로 인체내 독성을 나타 냅니다.
이러한 화학합성 유기게르마늄과 달리 광천수와 미생물 혹은 식물의 체내에 존재하는
천연 유기게르마늄은 독성이 없어 안전합니다.
생체 안에서 자연스럽게 유기화 되어 생체 친화력이 뛰어나고 독성이 없습니다.
여기에 착안하여 바이오게르마늄도 미생물인 효모와 게르마늄을 생합성 하여
개발한 제품입니다.
이론적 근거
1990년 대만 국립의료원 자오박사등은 천연 유기게르마늄이 다른 형태의 유기게르마늄 보다
좋은 결과를 보인다고 발표했습니다.
1997년 램지(Lynn M, Ramsay) 박사팀 '효모는 대사 과정에서 무기게르마늄을 유기게르마늄으로 전환시키는
생물학적 동화 작용에 의해 독성을 제거한다.
즉 효모가 무기게르마늄 원소의 독성을 무력화 시킨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은 20년이 넘는 시간동안 사랑받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입니다.
면역식품 전문
'바이오게르마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게르마늄 재구매율 높아 (0) | 2018.10.18 |
---|---|
바이오게르마늄 클래식 한달분과 두달분 (0) | 2018.06.29 |
바이오게르마늄 골드 후속제품 (0) | 2018.05.13 |
바이오게르마늄 효능과 생합성 공법 (0) | 2018.04.19 |
먹는 게르마늄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0) | 201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