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닥터 왓슨의 처방을 선택하다.
4.2cm 유방암 환자가 인천 길병원을 찾았다.
유방 절제술을 시행한 후 재발 방지 치료를 위해 환자정보를 왓슨에 입력했다.
결과는 왓슨과 의료진의 처방이 다르게 나왔다.
의료진은 항암제 투여를, 왓슨은 방사선 치료를 처방했다.
환자는 어떤 선택을 하였을까?
현재 환자는 매일매일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다.
이상 신문기사에 보도된 내용입니다.
놀랍습니다.
인천 길병원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11월 왓슨을 도입해 지금까지 대장암 23명, 폐암 20명등 총 85명의 암환자가 진료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진료 결과 처방이 다를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왓슨의 결정을 받아들였답니다.
왓슨은 IBM이 개발한 인공지능 의사입니다.
인공지능이 우리 생활에 어디까지 등장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기술의 발전은 인류에 희망을 줄것입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은 기술의 결정체며 좀 독창적인 결과물입니다.
1987년 연구를 시작하던 당시만 해도 게르마늄은 생소한 물질이였죠.
게르마늄에 관한 연구와 조사를 거듭할 수록 대단한 물질임을 직감하였습니다.
신비한 게르마늄이 국민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던 것입니다.
연구초기에는 화학구조를 달리하여 일본에서 먼저 개발한 화학합성 게르마늄의 결점을 보완한 제품을 만들어 보기도 했죠.
간단한 화학구조를 변경하여 만드는 합성게르마늄은 쉽습니다.
그런데 화학합성 게르마늄은 지금까지도 안전성 문제가 수차례 제기되는 등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화학합성 게르마늄을 생산하는 회사들은 안전성 문제를 의식하여 90% 이상 배출된다고 강조합니다.
그러나 장기복용할 경우의 안전성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이 아닙니다.
독창적인 게르마늄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에서 선택한 것은 미생물입니다.
(미생물을 찾아내기 까지의 어려웠던 이야기는 다음에 하기로 합니다.)
예를들자면 맹독성이 있는 무기유황을 오리에게 먹이고 오리가 신진대사를 하면서 무기유황의 독성을 제거하고 적응하면서 오리와 자연스럽게 유기화된 유황오리를 생각해 내면 됩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은 이런 미생물과의 생합성 과정의 결과물입니다.
게르마늄 함유량은 2,800~3,300ppm입니다.
엄청난 고함량 입니다.
안전성?
오랜기간동안 임상실험과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과 기능성을 인정 받아 한국식약처의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개별인정 받게 됩니다.
국내 여러대학의 임상실험결과도 그것을 증명해 주고 있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의 최종 효과는 '면역기능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기타III급)는 것입니다.
지난 20년 가까이 바이오게르마늄을 고객과 같이 하면서 느낀 게르마늄의 효과는 더 많습니다.
단순히 면역뿐 만은 아닙니다.
게르마늄을 알고 고객을 만나면서 우리나라에 희귀병등 난치병으로 힘들어 하는 분들이 셀수없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 아픈부분을 다 손잡아주고 싶은 마음 뿐입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게르마늄에 희망이 보인다는 것입니다.
몸에 좋다는 식품도 많고, 멀 먹고 낳다는 것도 많고, 막상 집안에 건강하지 않은 사람이 생겼을때 참 홀란스럽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건강에 좋다는 제품을 선택할 경우에는 좀 더 알아보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선택해야 겠습니다.
그런면에서 바이오게르마늄은 좋은 조건입니다.
한국식약처의 개별인정도 받았고
또 그동안 섭취했던 분들의 입소문이 좋으니까요.
의약품이 아닌이상 100% 다 만족하거나 효과를 못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기능성을 인정 받은 건강기능식품으로의 바이오 게르마늄은 희망적입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을 한번 드셔보세요!
바이오게르마늄의 효과는 면역이외에 41가지나 더 있습니다.
인공지능 처럼 기술이 사람을 희망으로 이끕니다.
'바이오게르마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오게르마늄이란 무엇인가? (0) | 2017.02.08 |
---|---|
바이오게르마늄 이영돈PD 논리로풀다 방송이후 (0) | 2017.02.04 |
바이오게르마늄 클래식 유통기한 (0) | 2016.12.30 |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함량 (0) | 2016.12.27 |
바이오게르마늄 미라클과 게란티 게르마늄 건강론 (0) | 2016.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