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게르마늄이란 먹는 게르마늄을 말합니다.
미생물을 바이오 기술을 이용하여 먹을 수 있게 개발한 게르마늄을 말합니다.
바이오 게르마늄의 장점은 미생물과 생합성 하였기에 독성이 없습니다.
독성이 없어 안전합니다.
게르마늄 함량도 높습니다.
평균 3,000ppm 함유되어 있습니다.
바이오기술로 만들어 인체 친화력이 높고, 함유량이 높아 효능이 좋습니다.
먹을 수 있는 게르마늄이 따로 있나요?
네, 먹을 수 있는 게르마늄은 따로 있습니다.
게르마늄은 무기게르마늄과 유기게르마늄이 있습니다.
무기 게르마늄은 무기질로 석탄이나 광석에 주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독성이 있어 사람이 먹을 수 없습니다.
주로 첨단 산업용이나 군수용으로 사용합니다.
먹을 수 있는 게르마늄을 유기 게르마늄이라 합니다.
유기게르마늄은 식물에 함유된 게르마늄과 인공 화학합성으로 만든 게르마늄
그리고 바이오 게르마늄이 있습니다.
식물에 함유된 게르마늄은 인삼이나 산삼 버섯등에 미량 함유되어 있고 안전합니다.
안전하기는 하나 미량 함유되어 있어 사람이 효과를 보기위해 다량 섭취해야 합니다.
현실적으로 한가지 식품을 다량 섭취하는건 쉽지 않습니다.
미국이나 일본등 외국에서 함유량을 높이고 먹을 수 있게 개발한 유기게르마늄이 있습니다.
주로 화학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만든 유기게르마늄입니다.
화학합성 유기게르마늄은 안전성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미국 FDA의 M, Bolger등 논문)
화학구조 및 공정상 문제가 제기된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르마늄의 효능 때문에 많은 게르마늄 제조회사들은 개발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의 한 제약회사(게란티제약)에서 새로운 개념의 유기게르마늄을 개발했습니다.
바로 바이오게르마늄입니다.
화학 합성방식이 아닌 식물에 함유된 미량원소를 추출하는 방식이 아닌 전혀 다른 방식입니다.
생합성입니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합성 방식입니다.
독성이 있는 유황을 오리가 먹고 유기태화 되어 안전한 유황오리를 먹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독성이 있는 게르마늄을 유기화 시킨다는 것입니다.
1997년 대만 램지 박사팀이 효모가 대사과정에서 무기게르마늄의 독성을 무독화 시킨다고 연구논문을 발표 했습니다.
1990년 대만 국립의료원 자오 박사팀도 천연 유기게르마늄이 다른 형태의 게르마늄 보다
획기적인 효능을 보인다고 발표한 적도 있습니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합성 유기게르마늄이 안전하고 우수하다는 것을 뒷받침 해주는 연구결과 입니다.
바이오게르마늄은 한국, 미국, 일본 식품관련기관으로 부터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제품입니다.
현재 바이오게르마늄은 바이오게르마늄 클래식과 바이오게르마늄 미라클 2종류가 시판되고 있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 클래식은 1캡슐이 400mg이며 300mg이 주원료인 게르마늄효모이며
100mg이 부원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이오게르마늄 미라클은 1캡슐이 300mg이며 전부 주원료인 게르마늄 효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원료 섭취를 원하지 않을 경우 미라클을 섭취하면 됩니다.
먹는 게르마늄은 구분을 해야됩니다.
먹는 게르마늄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승인받은 제품을 섭취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게르마늄 가루를 물에 타서 마시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게르마늄은 안전한 제품을 드시기 바랍니다.
'바이오게르마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영돈게르마늄 건강기능식품 한달분 출시 (0) | 2017.02.21 |
---|---|
게르마늄 약, 게류마늄 알약 한달먹는 약값 26만원이면 충분한가? (0) | 2017.02.11 |
바이오게르마늄 이영돈PD 논리로풀다 방송이후 (0) | 2017.02.04 |
바이오게르마늄 효과 와 인공지능 왓슨의 처방 (0) | 2017.01.13 |
바이오게르마늄 클래식 유통기한 (0) | 2016.12.30 |